지난 2022년 11월 10일, SIT는 사회적 관계망이 취약한 자립준비청년, 고립∙은둔청년의 자립을 주제로 2022 SIT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청년, 고립에서 자립으로-관계와 지지를 통한 함께 서기』란 타이틀로 진행된 본 행사에서 김성민 대표는 브라더스키퍼의 자립준비청년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관련한 우리 사회의 관심과 역할을 호소했다. 본 회차에서는 브라더스키퍼 김성민 대표의 목소리를 전달하고자 한다.
“자립준비청년은 부모에게서 보육원으로 한번 버려지고, 보육원에서 세상으로 다시 한번 버려진다.”
보육원에서 자란 청년이 보호종료 후 세상에 나오는 만 18세, 설렘 가득할 것 같은 스무 살은 두렵고 어렵고 막막하기만 하다. 자립준비청년 당사자이자 자립준비청년을 고용하고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자립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회적기업 브라더스키퍼를 설립한 김성민 대표 역시 20살에 보육원을 퇴소한 후 자립의 어려움을 경험했다. 6개월간 노숙생활을 하며 사회와 단절되었던 김성민 대표는 어떻게 당사자를 지원하는 브라더스키퍼를 창업하게 되었을까. 자립준비청년이 ‘보육원 출신’이라는 편견을 타파하고, 기대와 설렘으로 세상에 나올 수 있기를 바라는 김성민 대표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보육원 퇴소를 기다리는 게 고통스러웠어요. 먼저 퇴소한 선배들의 소식으로 어떤 형은 교도소에 들어갔고 또 어떤 형은 경찰서에 잡혀갔고 어떤 누나는 성매매를 하고 있다는 얘기가 매일매일 들렸거든요. 이런 상황에서 퇴소하는 날이 과연 기다려질까요?”
매년 만 18세가 되어 시설에서 퇴소하는 보호종료청년은 2500~3000명씩 발생한다. 하지만 이들을 관리하는 전담 인력은 120명뿐이다. 사회에 나와 연락이 두절되는 청년도 4명 중 1명으로 많다. 만 18세, 성인이라고 하지만 갓 사회에 발을 들인 스무 살에게 1인분의 몫을 기대할 순 없다.
물론 정부의 자립지원정책이 확대되어 자립정착금, 자립수당, 주거지원 등이 이뤄지고 있지만 김성민 대표는 이렇게 말한다.
“세상엔 돈으로 대체할 수 없는 것이 너무나 많습니다. 제가 만나는 자립준비청년들은 외로움과 불안으로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고 평균 일주일에 두 명에게서 삶을 포기하고 싶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김 대표는 17년 동안 살았던 보육원을 나와 사회에서 18년간 다양한 시도를 했다. 비영리단체에서 7년간 시설보호아동을 교육하고 자립준비청년을 지원했지만 ‘후원’만으로는 사람의 자립을 도울 수 없다는 한계에 봉착했다. 그후 200여 곳의 보육원에서 보호아동과 사회복지사를 인터뷰했고 자립을 위해선 ‘일자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김 대표는 당장에 개별 사업체를 찾아가 자립준비청년와 일자리를 연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비단 일자리만이 문제가 아니었다. 100건이 넘는 일자리를 연결했지만 청년들이 적응 문제로 길게는 3개월, 보통은 1~2주만에 퇴사하고 만 것이다. 첫 사회생활이 낯선 자립준비청년에게 회사라는 공동체에서의 업무와 인간관계에의 적응은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시설 출신이라 불쌍해서 잘해주나?’ ‘시설 출신이라 막 대하나?’라는 불신 탓에 적응을 포기하고 퇴사를 택하곤 한다. 이 경험으로 김 대표는 자립준비청년에게 필요한 것이 일자리만이 아니라 마음속 상처 회복을 통한 사회 적응력 향상임을 알게 되었다.
“각 회사마다 우대사항이 있듯이 브라더스키퍼는 자립준비청년을 우대합니다. 자립준비청년이 과거를 부끄러워하는 게 아니라 당당해졌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