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아티클
People
Pick
모임
Close
아티클
People
사회혁신가 인터뷰
전체
#여성
#접근성
#생태/동물권
#육성/지원
#차별/불평등
#기후위기/환경
#도시/공간
#아동
#기술/과학
#복지
#청소년/청년
#돌봄
#비영리/활동가
#커뮤니티
#교육/학습
#건강/보건
#창작/연구
#미디어
#인권
#다문화/이주민
#기업
#지역/주거
#정치
#사회참여
#자립
#장애
#일자리
#시니어
Thank you! Your submission has been received!
Oops! Something went wrong while submitting the form.
People
시각의 한계를 넘어, 세상을 읽을 수 있도록
장애라는 한 가지 요인이 사람의 의지와 욕구와 적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시각장애 학생에게 적절한 교육을 할 준비가 되어 있느냐’라고 자문해야 할 때입니다.
#장애
#교육/학습
#기술/과학
전체
People
기후우울증 대응, 혼자서는 할 수 없다!
예측 불가능한 기후위기 상황을 보며 우울감·불안·분노·좌절 등을 느끼는 복합적인 증상을 기후우울증(기후고통)이라 정식 명명했습니다. 특히 불확실한 미래를 마주하는 젊은 세대에서 기후우울증은 더욱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기후우울증 시대, 청년들은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요?
#기후위기/환경
#청소년/청년
#커뮤니티
전체
People
차별 없는 미용, 차이 나는 미용
가장 중요한 것은 미용사의 마음가짐이다. 우리는 누구든, 어디서든 미용할 수 있으며, 어떤 상황이든 이해할 수 있다는 마음. 그래서 고객에게 어떤 장애가 있는지 잘 묻지 않는다. 묻더라도 장애 유형을 직접 드러내는 질문은 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비장애가 아닌 장애를 전제로 미용 서비스를 한다.
#장애
#차별/불평등
#도시/공간
전체
People
어린이 도서관을 떠난 청소년들은 어디로 갈까?
지식의 격차는 좁히기 쉽지만, 경험의 격차는 좁히기 어렵다고 하잖아요. 경험의 격차를 좁히는 것이 공공 공간의 역할이에요.
#아동
#청소년/청년
#도시/공간
전체
People
힙한 도시? 엉망진창 도시? 베를린에서 한국 스타트업 키워내기
나는 베를린에서 살아가는 한국인이다. 독일어를 쓰며 독일에서 살아도 나의 외모와 뿌리는 한국에 있다. 내 정체성을 담아 유럽에서 한국에 관해 얘기하는 게 좋다. 반대로 한국에 계시는 분한테는 당연히 내가 있는 베를린의 얘기를 해주는 게 좋다. 그걸 동력으로 삼아 일을 재밌게 하고 있다.
#기업
#육성/지원
전체
People
AI로 세상을 이해하는 눈을 만들다
시각장애인도 독립적으로 읽고 쓰고 싶다. 설리번 플러스를 이용하여 색상도 읽고, 글자도 확인할 수 있으니 스스로 해결이 가능하다. 100%는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독립생활이 가능하다. 주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없을 때 혼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에게는 생활의 혁신이다.
#장애
#기업
#기술/과학
전체
People
올바른 성문화를 만드는 바른생각
아이들은 성장하며 각 연령에 맞는 성교육을 받는데, 사전 지식 없이 그 정보를 접했을 때 혼란을 겪기도 하고, 부정적 성 인식을 갖기도 한다. 아이가 올바른 정보를 얻지 못하면 누가 알려주는 역할을 해야겠나? 어른들이 먼저 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가르쳐야 한다.
#건강/보건
#기업
전체
People
모두를 위한 서비스 만드는 법(feat. 카카오톡)
회사에서 계속 일하는 이유 중 하나는 접근 가능 환경을 만들 수 있어서다. 카카오 서비스의 접근성을 조금만 개선하면 수백만 명의 장애인 사용자가 혜택을 받는다.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 많은 장애 요소를 해결할 수 있다.
#장애
#기업
#기술/과학
전체
Previous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