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아티클
People
Pick
모임
Close
#청소년/청년
People
도시 전체가 캠퍼스가 된다면?
청년들이 떠나는 지역 밀양에서, 청년들의 미래와 꿈을 그릴 수 있는 실험이 시작됐습니다. 지역에 작은 균열을 만들어내는 실험이죠. 이 실험이 끝난 후, 청년들이 여기 계속 살아도 괜찮다는 생각을 하게 되길 바랍니다.
#도시/공간
#지역/주거
#청소년/청년
#커뮤니티
Pick
이주아동들이 자라온 땅에서 꿈꿀 수 있기를
한국에서 자라온 친구들이지만, 할 수 없는 것이 많은 아이들이 있습니다. 미등록 이주아동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요? 결국, 변화를 만드는 것은 평범한 사회 구성원인 우리 모두의 참여와 힘입니다.
#다문화/이주민
#아동
#교육/학습
#청소년/청년
Pick
관계를 맺고 성장하는 청년지원 프로그램이 되려면
위기·고립청년을 온전히 지원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 사이의 관계가 아닌 '인간관계'를 맺어야 하고, 더 나아가 '배움과 성장을 위한 교육적 관계'를 맺어야 한다.
#청소년/청년
#자립
#교육/학습
People
당신의 존재를 응원합니다
관계망이라는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저의 동력이에요. 그러니까 달리 말하면, 공동체가 필요하지 않은 사람은 없는 거예요. 누구에게나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면서 사회 속에 발 딛고 있다는 감각은 필요하니까요.
#커뮤니티
#청소년/청년
#교육/학습
Pick
청소년, 마약중독에 ‘저항’하려면
약은 인간의 욕망을 굉장히 솔직하게 보여주는 물건이기 때문이다. 쥐약, 모기약처럼 생명을 죽이는 약이라도, 좋은 환경과 위생이라는 '인간의 욕망'을 채우는 데 도움이 된다면 그건 '약'인 것이다.
#건강/보건
#청소년/청년
People
기후우울증 대응, 혼자서는 할 수 없다!
예측 불가능한 기후위기 상황을 보며 우울감·불안·분노·좌절 등을 느끼는 복합적인 증상을 기후우울증(기후고통)이라 정식 명명했습니다. 특히 불확실한 미래를 마주하는 젊은 세대에서 기후우울증은 더욱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기후우울증 시대, 청년들은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요?
#기후위기/환경
#청소년/청년
#커뮤니티
People
어린이 도서관을 떠난 청소년들은 어디로 갈까?
지식의 격차는 좁히기 쉽지만, 경험의 격차는 좁히기 어렵다고 하잖아요. 경험의 격차를 좁히는 것이 공공 공간의 역할이에요.
#아동
#청소년/청년
#도시/공간
People
N인분의 삶을 사는 영케어러, 돌봄 '독박'에서 벗어나려면
일상 속 친밀한 관계 사이의 사소한 돌봄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돌봄은 관계에 기반한 노동으로, 돌봄의 질, 즉 어떻게 주고 받느냐 또한 중요하다. 정부와 시장의 역할이 있고 개인의 역할이 있기에, 이 개인의 돌봄이 가능한 사회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돌봄
#청소년/청년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