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아티클
People
Pick
모임
Close
#창작/연구
Pick
사회가 만든 절벽, 선택지가 사라진 청년 여성의 마지막 선택
그러나 우리의 두려움이 나타내듯, 우리가 삶의 많은 시간을 커리어에 쏟는다 하여 우리가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슬프게도 대부분이 실패한다. 유망한 일자리는 언제나 희소하기에 대다수의 사람들은 불안정한 일자리를 끊임없이 이동하며 산다. 그래서 청년 여성에게 가장 두려운 것은 ‘해고’가 아니라 ‘옮겨 다닐 곳이 없는 미래’이다.
#여성
#창작/연구
People
일인칭으로 써 온 이야기에, 모두의 목소리가 겹쳐지기를
제가 원하는 사회는 누군가 자신의 목소리를 낸 순간에, 말을 얹고 싶어도 얹지 않는, 나이스한 침묵을 할 줄 아는 사람들이 많은 사회입니다. 그냥 너는 그런 삶을 살아왔구나, 너에게 가난은 그런 거구나 이렇게 들어줄 수 있어야 하죠. 각자의 일인칭 가난을 고백하고 기록할 때에 있어서 그 누구도 말을 끊지 않는 사회, 그게 제가 가장 원하는 사회예요.
#복지
#여성
#창작/연구
People
집을 잃고 집을 만드는 여성들
제가 만난 여성 홈리스 분들은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물리적 장치가 없었어요. 그래서 다양한 생존 전략을 발전시켰죠. 어떤 분은 밤새도록 걸어 다닌다고 하더라고요. 안전하지 못하다는 느낌 때문에 한 곳에 머물거나 잠을 청할 수가 없는 거예요.
#여성
#창작/연구
#돌봄
People
새 옷과 헤어질 결심
저에게 ‘멋’이란 타인이나 자연을 착취·낭비하지 않으면서도 멋질 수 있는 걸 의미해요. 단순히 소비를 멈추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소비를 멈춤으로써 얻는 새로운 가치와 멋을 보여주고 싶어요.
#기후위기/환경
#창작/연구
#사회참여
People
그래픽은 어떻게 운동이 되는가
작업을 사이에 두고 디자이너와 클라이언트가 소통하며 만들어가는 일이 중요하다 느껴요. 저는 작업이라면 자연스레 참여자의 의견을 들을 수밖에 없고, 그렇게 탄생한 작업이 좋은 작업이자 건강한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창작/연구
#사회참여
People
100원으로 장례 준비하는 법
시장은 잘못된 구조를 개선하는 방향이라면, 문화는 개선보다 제안의 측면인 것 같아요. 장례에 대한 개인의 니즈는 고인을 좀 더 입체적으로 생각하고 바라볼 수 있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창작/연구
#기업
Pick
환대하는 콘텐츠 설계하기 - 접근성을 기획하고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안내서
실제로 콘텐츠를 기획하고 창작하는 과정부터 당사자가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접근성 작업을 진행하며 어떻게 하면 가장 많은 순간에서 당사자와 함께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실천해야 합니다.
#창작/연구
#접근성
People
우리 동네가 재개발로 사라진다면?
사실 산다는 건 어우러져야 하는 일이잖아요. 그게 너무 어려워지는 사회에서 이 공간이 가진 의미가 있어서 그것을 기록하고, “우리나라에 이런 곳이 있었어. 믿을 수 없겠지만 여기에 모든 사람이 함께 모여있었어.”를 남기고 싶은 욕심이 있습니다.
#창작/연구
#도시/공간
#다문화/이주민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