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아티클
People
Pick
모임
Close
#지역/주거
Pick
지역에 관계라는 뿌리를 내리는 중입니다
지역에서의 성장은 변화보다 ‘축적’을, 확장보다는 ‘지속’을 중요하게 여긴다. ‘얼마나 변화했는가’보다 ‘어떻게 깊어지는가’에 집중하는 마음. 나는 그 마음이 매력인 지역에서 새로운 의미의 성장을 배우며, 나만의 이야기를 차곡차곡 쌓아가는 중이다.
#지역/주거
#도시/공간
#커뮤니티
People
청소년을 위한 콘크리트 유토피아
부모와 살 수 없는 청소년이 안전하게 살 수 있는 공간과 지원이 있다면, 지역사회 사람들도 그 청소년을 폭력이 여전한 원 가정으로 돌려보내거나 시설로만 보내려 하지 않을 거예요. 그리고 우리 모두가 이 사회가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을 거예요. 한 명의 청소년이 어떻게 대우받는지를 보면서 우리 모두가 안전감을 느끼거나 불안감을 느끼게 되니까요.
#청소년/청년
#지역/주거
People
도시 전체가 캠퍼스가 된다면?
청년들이 떠나는 지역 밀양에서, 청년들의 미래와 꿈을 그릴 수 있는 실험이 시작됐습니다. 지역에 작은 균열을 만들어내는 실험이죠. 이 실험이 끝난 후, 청년들이 여기 계속 살아도 괜찮다는 생각을 하게 되길 바랍니다.
#도시/공간
#지역/주거
#청소년/청년
#커뮤니티
People
소와 내가 살게 됐다
동물의 고통은 사실 많이 드러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직접 동물이 학대⠂착취⠂죽임 당하는 현장에 가서 조사하고 기록해서 사람들을 설득할 수 있는 정보를 만들어내죠. 동물성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하는 문화가 없어지는 세상을 바라는 것 같아요. 이것을 쉽게 말하면 ‘죽이기보다는 살리는 세상’이죠.
#생태/동물권
#지역/주거
#기후위기/환경
People
오고 가는 모든 사람이 '나'다울 수 있는 정거장
내가 원하는 '나'다운 삶은 어떤 모양일까 고민해보신 적 있나요? 도시쥐 정거장은 청년들에게 새로운 삶의 경로를 제안합니다.
#도시/공간
#지역/주거
#커뮤니티
People
이주노동자, 안전하고 건강하게 살 권리
노동자는 노동자이면서도 시민, 이웃, 부모 등 다양한 정체성을 지닌 사람입니다. 이러한 인식을 바꾸고, 노동력을 불렀지만 사람이 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주노동자를 노동자로서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바라보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문화/이주민
#지역/주거
#건강/보건
People
지역의 이야기가 가진 힘
서사와 이야기에는 힘이 있잖아요. 부록으로 주인공이 작품 내에서 이동한 동선을 통해 지역의 가볼 만한 곳을 소개해요. 이 만화를 보시는 분들이 그 루트를 따라 지역을 여행할 것을 기대했고요. 이야기의 힘을 믿어서요.
#지역/주거
#창작/연구
#미디어
Pick
조그만 소도시가 학부모의 러브콜을 받게 된 비법은?
청년층, 베이비부머 시대의 은퇴한 중장년층 등 다양한 생애단계에 자리한 사람들을 고려한 복합적인 발전 전략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자체와 국가 단위의 전략을 결합하는 보다 큰 범위의 지방소멸 대책 마련이 필요한 때다.
#지역/주거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