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아티클
People
Pick
모임
Close
#창작/연구
Pick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데이터 활용법
임팩트라는 성과를 내고 증명해야 할 필요가 있는 우리에게, 가끔은 측정을 잘하고 평가를 잘 받는 것이 목표가 될 때가 있는 것 같습니다. 중요한 것은 문제를 겪고 있는 당사자, 한 개인의 삶에 개입할 만큼 진정성으로 임하는 것임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그 진정성을 뒷받침하는 것이, 임팩트 생태계에 필요한 데이터 분석이라 생각합니다.
#기술/과학
#비영리/활동가
#창작/연구
People
가족을 구성할 권리와 새로운 유대
사회의 기본단위를 가족이 아닌 시민 개개인으로 상정하고 지원 체계 또한 가족 단위에서 개인 단위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해요. 다양하게 나타나는 관계성들을 사회가 인정하고 지원해 개인이 스스로의 존엄 속에 관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거죠.
#창작/연구
#돌봄
#커뮤니티
People
우리가 모르거나 오해하는 이웃
인권은 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 분야의 인권이 후퇴하면 다른 분야의 인권도 함께 후퇴한다. 따라서 이주민 인권에만 국한되지 않고, 아동, 장애인, 노인, 성소수자, 동물 등 모든 존재의 권리에 대해 전반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다문화/이주민
#인권
#창작/연구
Pick
모두를 위한 디자인을 실천하는 세 가지 방법
좋은 디자인이란 가능한 많은 사용자에게 선택할 수 있는 자유와 스스로 일을 할 수 있는 즐거움을 주는 디자인이라 정의 내리고 싶다. 그것이 모두를 위한 디자인이자 우리가 지향해야 할 디자인의 현재이자 미래다.
#접근성
#창작/연구
#장애
People
다양한 것이 살아남는다
자연이 스스로 균형을 찾아갈 수 있게, 비인간 동물이 회복하는 힘을 발휘하도록 도와주는 게 그들과 우리가 연대하는 방법이에요.
#생태/동물권
#기후위기/환경
#창작/연구
People
인력(人力)이 아닌, 인간(人間)이 왔다
안타까움과 불쌍함은 다른 감정이다. 안타까움은 공감에 기반한다. 언젠가는 되돌아갈 사람이기에, ‘우리’라는 관계/정서가 형성되지 않는다.
#다문화/이주민
#인권
#창작/연구
People
수평적인 기술문화를 위한 실천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기술의 작동 방식을 알아야할 이유가 없어졌다. 기술의 소비 영역에만 머물게 되는 것이다. 어떤 면에서는 주체성의 상실이기도 하다. 다양한 관점, 주체적인 시각이 없다면 기술은 편향적으로 흐른다.
#기술/과학
#창작/연구
#차별/불평등
People
지역의 이야기가 가진 힘
서사와 이야기에는 힘이 있잖아요. 부록으로 주인공이 작품 내에서 이동한 동선을 통해 지역의 가볼 만한 곳을 소개해요. 이 만화를 보시는 분들이 그 루트를 따라 지역을 여행할 것을 기대했고요. 이야기의 힘을 믿어서요.
#지역/주거
#창작/연구
#미디어
Previous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