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아티클
People
Pick
모임
Close
#비영리/활동가
People
경계를 넘어 집을 짓다
땅에 발을 딛고 사는 느낌이 아니라 그냥 계속 떠다니는 삶이었죠. 아는 사람은 전부 한국인들이었지만 한국 사람들에게 저는 시리아 이방인이었어요. 귀화 이후에는 정말 ‘집’이 생긴 것 같았어요. 주민센터도 갈 수 있고, 어디서든 “저는 한국인이에요”라고 말할 수 있었어요.
#다문화/이주민
#비영리/활동가
#인권
Pick
관성 탈출 : 비영리 공익활동 단체들의 혁신 전략과 실천 과제
기존의 운동들이 우호적인 집단을 대상으로 공동체를 형성하고 사회변화에 나섰다면, 지금은 중간지대(회색지대)를 포괄하는 전략(회원 시프트)을 구사해야 할 때가 왔다. 즉, 강력한 가치 동일성을 중심으로 한 연대에서 벗어나, 조금은 엉성하고 복잡하며 다면화된 가치를 가진 이들과 함께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비영리/활동가
Pick
새로운 시대 : 비영리 공익활동 단체들의 위기와 기회
비영리 공익단체들에게 인력과 재정의 어려움은 하루 이틀의 일이 아니지만, 현재 상황은 훨씬 심각하다. 우선 참신한 인재 확보가 어렵고 기존 활동가들의 노령화도 진행되고 있다. 사회복지나 청년 분야 등 보조금 등의 유입이 있는 곳을 제외하면, 많은 풀뿌리 시민단체의 운영실무진 주축은 40~50대가 된 지 오래다. 이는 인구 감소의 영향도 있겠고, 경제적 안정성 부족이나 구태의연한 조직문화, 젊은 세대가 원하는 혁신 사업의 부재 등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비영리/활동가
#사회참여
People
소통, 신뢰, 지속 가능한 비영리
비영리가 사회 문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델의 효율성을 점검하고, '사람'을 향해 투자하고, 임팩트에 관해 집요하게 질문하며, 더 많이 교류하고 대화할 수 있는 장이 필요합니다.
#사회참여
#비영리/활동가
Pick
어쩌다 모금을 하게 된 사람이 쓰는 글
십시일방이 평균 80%의 뉴스레터 오픈율을 유지하는 비결은 3가지 입니다. 첫째, 기부자와 가까운 거리에서 소통합니다. 둘째, 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히 전합니다. 셋째, 기부자와 솔직한 생각을 공유합니다.
#사회참여
#비영리/활동가
Pick
비영리 조직은 어떻게 돈을 버나요?
저는 돈 잘 버는 방법을 고민하는 비영리 조직이 점점 더 많아지기를 희망합니다. 비영리 조직이 확장되는 선순환이 우리가 꿈꾸는 더 나은 세상에 한 걸음 가깝게 해줄 것이라 믿습니다.
#사회참여
#비영리/활동가
Pick
전직 마케터의 도파민 터지는 사회변화 캠페인 기획법
보통 캠페인은 짧은 기간 진행하는 데 반해, 사회는 천천히 변화합니다. 기획자나 활동가들은 캠페인을 하기 전과 후의 세상이 아무 변화가 없는 것 같아 무력감을 느끼기도 하죠. 사회변화 캠페인이 지속하고 확장되려면 더 많은 사람이 성과 측정 방법을 고민하고 지원해야 합니다. 가시적인 성과를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을 때, 우리는 많은 변화를 만들 수 있다고 믿습니다.
#사회참여
#미디어
#비영리/활동가
People
“너(잠재후원자), 내 동료가 되어라!”
모금은 단순한 예산 확보가 아니다. 특히 개인 후원자 모금은 단체의 미션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하고 후원자와 진솔한 소통을 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다. 후원 요청을 통해 우리의 미션과 활동을 자세히 소개하고 설득하는 과정에서 후원자는 미션을 더 깊이 이해한다. 우리의 가치를 알리는 가장 확실하고 적극적인 방법이다. 모금은 미션 실현과 후원자와의 관계 강화를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비영리/활동가
#기술/과학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