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아티클
People
Pick
모임
Close
#비영리/활동가
Pick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데이터 활용법
임팩트라는 성과를 내고 증명해야 할 필요가 있는 우리에게, 가끔은 측정을 잘하고 평가를 잘 받는 것이 목표가 될 때가 있는 것 같습니다. 중요한 것은 문제를 겪고 있는 당사자, 한 개인의 삶에 개입할 만큼 진정성으로 임하는 것임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그 진정성을 뒷받침하는 것이, 임팩트 생태계에 필요한 데이터 분석이라 생각합니다.
#기술/과학
#비영리/활동가
#창작/연구
Pick
'활동가님'이라니, 저를 부르신 거겠지요?
저는 잠수함토끼콜렉티브를 ‘환자 단체’로 규정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섭식장애 경험 당사자라고 해도 지금 한창 가장 힘든 시기를 통과하는 사람도 있겠고, 이제 충분히 회복됐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을 테고, 또 섭식장애에 대한 논의를 이 병을 겪어 본 사람만 해야 하거나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니까요. 무엇보다 저는 우리의 논의 주제를 섭식장애에만 한정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사회참여
#비영리/활동가
Pick
‘임팩트’도 코딩할 수 있을까?
원하든, 원하지 않든 기술은 이미 우리 삶 속에 깊이 침투했습니다. 앞으로의 쟁점은 ‘기술을 어떻게 쓸 것이냐?’고 이를 가능케 하기 위한 기술 문해력, 소통방식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기술/과학
#비영리/활동가
#커뮤니티
Pick
소유하지 않아도 존재할 수 있도록, 주택협동조합
희미해진 연대의 감각을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과 ‘함께주택 2호: 무지개집’의 사례를 통해 되새김질 해보자. 주택협동조합이 제시하는 구조가 도대체 무엇인지, 그 구조를 통해 무엇을 이루고자 하는지 알기 위해서 말이다.
#도시/공간
#비영리/활동가
People
아기를 살리려면 부모를 살려야 한다
지금도 아기들은 계속 들어온다. 베이비박스의 필요성에 대한 논쟁보다는 그 앞 단계에서 아기가 베이비박스까지 오는 과정을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 주제에 뛰어들게 되었다.
#건강/보건
#비영리/활동가
#아동
People
열여덟 어른 드러내기
비영리 콘텐츠는 어렵다. 어그로도 안 되고 곡해도 안 된다. 소재는 정해져 있고, 재미로만 접근할 수도 없다.
#자립
#비영리/활동가
People
누구나 돌봄을 주고 받으며 '나'로 살아갈 수 있기를
가정폭력 가해자였지만 그래도 약자가 된 아버지를 외면할 수 없었던 나는, 아버지의 유일한 보호자가 되기로 했다.
#돌봄
#비영리/활동가
People
참여자가 치유활동가로 거듭나는 지속가능한 구조
사회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행동, 논쟁, 제안의 일을 반복하니 정서적으로 피폐해졌다. 소진된 상태로는 활동을 지속할 수 없었다. 공익 활동가의 심리적 어려움을 돌보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건강/보건
#커뮤니티
#비영리/활동가
Previous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