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아티클
People
Pick
모임
Close
#사회참여
People
연결의 밀도 : 변화를 만드는 관계 만들기
각자의 자리에서 홀로 고민하던 이들이 모여 커뮤니티를 만들고, 그 안에서 치유와 상호 성장을 경험하고 있었어요. "나만 이렇게 힘들까?"라는 질문으로 시작된 여정이 이제는 "우리가 함께 있잖아요"라는 답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돌봄
#사회참여
#커뮤니티
Pick
새로운 시대 : 비영리 공익활동 단체들의 위기와 기회
비영리 공익단체들에게 인력과 재정의 어려움은 하루 이틀의 일이 아니지만, 현재 상황은 훨씬 심각하다. 우선 참신한 인재 확보가 어렵고 기존 활동가들의 노령화도 진행되고 있다. 사회복지나 청년 분야 등 보조금 등의 유입이 있는 곳을 제외하면, 많은 풀뿌리 시민단체의 운영실무진 주축은 40~50대가 된 지 오래다. 이는 인구 감소의 영향도 있겠고, 경제적 안정성 부족이나 구태의연한 조직문화, 젊은 세대가 원하는 혁신 사업의 부재 등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비영리/활동가
#사회참여
People
소통, 신뢰, 지속 가능한 비영리
비영리가 사회 문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델의 효율성을 점검하고, '사람'을 향해 투자하고, 임팩트에 관해 집요하게 질문하며, 더 많이 교류하고 대화할 수 있는 장이 필요합니다.
#사회참여
#비영리/활동가
People
책 읽기는 세상을 구한다
책을 읽는 행위는 내가 속한 세계의 형태를 새롭게 재조립하는 일이라고 생각해요. 책을 통해 어떤 문제의 원인을 내 안에서 찾는 게 아니라, 더 넓은 사회적 맥락에서 찾게 되니까요.
#사회참여
#여성
#커뮤니티
People
새 옷과 헤어질 결심
저에게 ‘멋’이란 타인이나 자연을 착취·낭비하지 않으면서도 멋질 수 있는 걸 의미해요. 단순히 소비를 멈추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소비를 멈춤으로써 얻는 새로운 가치와 멋을 보여주고 싶어요.
#기후위기/환경
#창작/연구
#사회참여
Pick
어쩌다 모금을 하게 된 사람이 쓰는 글
십시일방이 평균 80%의 뉴스레터 오픈율을 유지하는 비결은 3가지 입니다. 첫째, 기부자와 가까운 거리에서 소통합니다. 둘째, 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히 전합니다. 셋째, 기부자와 솔직한 생각을 공유합니다.
#사회참여
#비영리/활동가
Pick
비영리 조직은 어떻게 돈을 버나요?
저는 돈 잘 버는 방법을 고민하는 비영리 조직이 점점 더 많아지기를 희망합니다. 비영리 조직이 확장되는 선순환이 우리가 꿈꾸는 더 나은 세상에 한 걸음 가깝게 해줄 것이라 믿습니다.
#사회참여
#비영리/활동가
People
헌신? 책임? 아니요, 다정한 라이프스타일입니다.
봉사가 헌신, 책임, 나눔의 표상보다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일상, 라이프스타일로 자리 잡으면 좋겠어요.
#사회참여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