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아티클
People
Pick
모임
Close
아티클
People
사회혁신가 인터뷰
전체
#여성
#접근성
#생태/동물권
#육성/지원
#차별/불평등
#기후위기/환경
#도시/공간
#아동
#기술/과학
#복지
#청소년/청년
#돌봄
#비영리/활동가
#커뮤니티
#교육/학습
#건강/보건
#창작/연구
#미디어
#인권
#다문화/이주민
#기업
#지역/주거
#정치
#사회참여
#자립
#장애
#일자리
#시니어
Thank you! Your submission has been received!
Oops! Something went wrong while submitting the form.
People
헌신? 책임? 아니요, 다정한 라이프스타일입니다.
봉사가 헌신, 책임, 나눔의 표상보다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일상, 라이프스타일로 자리 잡으면 좋겠어요.
#사회참여
전체
People
그래픽은 어떻게 운동이 되는가
작업을 사이에 두고 디자이너와 클라이언트가 소통하며 만들어가는 일이 중요하다 느껴요. 저는 작업이라면 자연스레 참여자의 의견을 들을 수밖에 없고, 그렇게 탄생한 작업이 좋은 작업이자 건강한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창작/연구
#사회참여
전체
People
“너(잠재후원자), 내 동료가 되어라!”
모금은 단순한 예산 확보가 아니다. 특히 개인 후원자 모금은 단체의 미션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하고 후원자와 진솔한 소통을 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다. 후원 요청을 통해 우리의 미션과 활동을 자세히 소개하고 설득하는 과정에서 후원자는 미션을 더 깊이 이해한다. 우리의 가치를 알리는 가장 확실하고 적극적인 방법이다. 모금은 미션 실현과 후원자와의 관계 강화를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비영리/활동가
#기술/과학
전체
People
100원으로 장례 준비하는 법
시장은 잘못된 구조를 개선하는 방향이라면, 문화는 개선보다 제안의 측면인 것 같아요. 장례에 대한 개인의 니즈는 고인을 좀 더 입체적으로 생각하고 바라볼 수 있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창작/연구
#기업
전체
People
서로에게 레퍼런서가 되는 커뮤니티, 창고살롱
나만의 속도와 방법으로 지속 가능하게 일하고 싶은 여성에게 필요한 것은, 정답 같은 롤모델이 아닌 다양한 레퍼런스라고 생각했거든요. 예측 불가능한 상황 속에 홀로 고민하다 사라지는 게 아니라, 각기 다른 상황 속에 비슷한 욕구를 가진 동료들과 느슨하지만 단단하게 연결되어 커리어와 일상에 대한 고민을 건강한 방법으로 나누는 거예요. 한 사람의 서사가 다른 누군가에게 레퍼런스가 되어 길을 모색하는 여정을 함께 하는 거죠.
#커뮤니티
#여성
#교육/학습
전체
People
폐지 줍던 어르신, 작가로 데뷔!
궁극적으로는 청년과 노년이 같은 시간을 살아가고 있다는 걸 말하고 싶어요. 저는 30페이지 언저리에 살고 있고 우리 어르신들은 70페이지, 80페이지 언저리에서 각자의 오늘을 써 내려가고 있죠. 세대와 세대가 서로 존중하고, 또 서로가 서로의 오늘을 응원했으면 합니다.
#시니어
#일자리
#기업
전체
People
우리 동네가 재개발로 사라진다면?
사실 산다는 건 어우러져야 하는 일이잖아요. 그게 너무 어려워지는 사회에서 이 공간이 가진 의미가 있어서 그것을 기록하고, “우리나라에 이런 곳이 있었어. 믿을 수 없겠지만 여기에 모든 사람이 함께 모여있었어.”를 남기고 싶은 욕심이 있습니다.
#창작/연구
#도시/공간
#다문화/이주민
전체
People
이주노동자, 안전하고 건강하게 살 권리
노동자는 노동자이면서도 시민, 이웃, 부모 등 다양한 정체성을 지닌 사람입니다. 이러한 인식을 바꾸고, 노동력을 불렀지만 사람이 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주노동자를 노동자로서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바라보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문화/이주민
#지역/주거
#건강/보건
전체
Previous
Next